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65)
24년 하반기 톺아보기.. '톺아보기' 이럴때 쓰는말이 아닌가...?톺아보다라는 말을 몰라서 찾아봤는데 톺아보다의 뜻을 샅샅이 톺는거라 설명해놓다니.. 7월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열린 PRESM 학회에 다녀왔다. 정밀공학 & 생산이 주 주제인 학회인데 나름 divergence가 넓었다. '정밀공학'에 정밀생산, 정밀제어, 정밀센싱 등... 세상 모든 정밀이 다 튀어나온것 같았다. 나는 발표가 없어서 사실상 그냥 놀다왔다. 다만 아쉬운점은 미리 좀더 공부를 하고 갔다면 poster section에서 더 많은 소통이 될 수 있었을텐데.. 하는 후회가 있다. 아헨 공대 Christian Brecher 교수의 keynote speech를 청강했다. 가공과정에서 얻어지는 data를 전 세계와 공유하는 빅 텐트 오픈데이터 시스템을 추구한..
(기계재료)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논문을 읽다보니 자주 등장해서 찾아봤다. 태양광시대의 게임 체인저니 뭐니 하며 관련주도 쫘라락 나오는데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재료학적 관점에서 알아보자. Perovskite는 ABX3 결정구조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A,B는 positive ion, X는 mixed halide anion인데 직역하면 할라이드 혼합이온..이 무슨말이냐면 대충 할로겐 음이온을 의미한다. Perovskite를 인터넷에 쳐보면 화학식이 CaTiO3로 나오는데, 위에서 말했듯 Perovskite는 ABX3의 결정구조를 갖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기에 꼭 CaTiO3만 Perovskite를 의미하는건 아니다. 그저 kind of Perovskite일 뿐.. Perovskite의 특징?Perovskite는 태양전지에 ..
(기계재료) 연성재료와 취성재료 (Ductile, Brittle) 재료를 분류할때 보통 금속, 고분자(Polymer), Ceramic 세 종류로 분류한다.  금속은 하중을 가했을때 변형이 곧잘 되지만 Ceramic은 아주 미세한 변형후 바로 파괴된다. (쇠파이프를 아주 잘 눌러보면 휘지만 도자기를 누르면 바로 깨지는것을 상상해보자)이러한 기계적 특성으로 재료를 분류하면 연성재료(Ductile material)와 취성재료(Brittle material)로 분류할 수 있다.  연성재료는 어감대로 연한 재료이다. 연하다는건 변형이 잘~된다는건데 그럼 변형이 잘 된다는건 조금만 건드려도 변형된다는건가? -> 그런 느낌은 아니고, 쉽게 파괴되지 않고 잘 변형이 된다는 의미이다.  잘~변형된다는 말을 stress-strain curve를 보며 설명하면, Failure point가..
(기계재료)전기력과 전하 전기력의 정의는 '전기를 띈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다. 여기서 전기를 띈 물체는 무엇일까? 세상 모든 물체는 원자(atom)단위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이 원자는 '원자핵(atomic necleus)'과 '전자(electron)'로 이뤄져있다. 전자는 원자핵 주변을 공전하는데 이때, 궤도를 이탈하지않고 공전하기 위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필요하다. 마치 태양이 지구를 엄청난 중력으로 끌어당기며 지구가 공전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것처럼 말이다. 이 중력의 원자ver이 전기력(electric force)이다. 그림으로보면 이런식이다. electric force는 전자와 원자핵 사이 존재하는 인력인데, 이 케이스는 '전기력'이 '전기적인력'으로 작용하는 사례로 보는게 맞다. 그럼 둘은 왜 끌어당길까..
나이키스트 주파수 (Nyquist Frequency) 센서 데이터를 사용할때 준수해야하는 부분... 진동측정을 할때 보통 3축 가속도계로 측정한 후 센싱값을 Fourier Transform해 진동데이터를 얻는다. 센서가 알아서 측정값을 FFT해주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경우 데이터를 Matlab등 계산툴로 불러와 직접 FFT를 해야하는데 이때, FFT범위 주파수 대역대를 어떻게 설정해야할까? 그 기준을 잡아주는것이 Nyquist frequency이다.   GPT에게 FFT 코드를 짜달라하면 쭉쭉 만들어주는데 저기 빨간박스 체크된 Fs 부분이 주파수 대역에 관한 부분이다. 만약 저 부분을 마음대로 상수로 넣으면 그에 맞춰 FFT플롯이 나오게된다. 예를들어 5000을 넣으면 2500Hz까지. 4000을 넣으면 2000Hz까지.. 근데 이게 과연 맞는값일까..
PID Controller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ID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PID를 왜 쓸까?- 고급 제어 알고리즘에 비해 수학적 모델이 복잡하지 않음- Plant에 대한 정보없이도 Gain을 찾아낼 수 있음Gain tuning을 해보면 알겠지만 매트랩켜고 계속 PID 숫자 바꿔가며 응답을 확인해 최적의 응답이 뜰때까지 노가다 뛰는방법이 흔히 쓰인다. 즉, Plant에 대한 이해가 없더라도 숫자놀이하며 최적의 게인을 찾을 수 있다는것이다.-외란에 강함 PID의 개념PID는 각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즉 비례, 적분, 미분 계산을 통한 제어를 의미한다.  미분이랑 적분은 알겠는데 비례계산은 뭘까? 비례제어는 상수를 곱해 시스템의 형태?특성?은 유지하되 그 크기를 키우는것을..
[python] 백준 1018 : 체스판 다시 칠하기 입력받은 배열을 8x8씩 잘라서 '가장 체스판에 가까운' 배열을 찾는 문제이다. 일단 '잘' 입력받아서 배열로 만들어야 한다. 문자열을 입력받을때 띄어쓰기 없이 그대로 쭈루룩 입력받으므로, 각각 문자에 접근하기위해선 그들을 각 리스트의 개별 원소로 다루는게 편하다.a,b=map(int,input().split())list_whole=[]for i in range(b): #b개 열만큼 반복. 행 리스트를 전체 리스트에 append list_whole.append(list(input()))list(input())으로 받으면 문자열을 BWBWBW..와 같이 입력해도 개별 문자가 하나의 리스트 원소로 저장이된다. 아래가 출력값인데 딱 의도한대로 2차원 배열로 출력이 된다. [ ]으로 묶여있는 원소들이 하나..
푸리에 급수, 푸리에 변환(Fourier Series, Fourier Transform) 2학년때 공수에서 배웠지만 솔직히 어디에 쓰이는지 잘 안와닿았다. 최근들어 논문을 읽기 시작하니 신호처리에서 꽤 자주FFT, FT를 이용하는 사례를 접했고 한번 정리해보는게 좋겠다 싶었다. 푸리에 변환을 간단히 말하면 신호를 보는 관점을 변환하는건데, 시간에 따른 진폭을 보는 일반적인 domain에서 time domain을 frequency domain으로.. 시간에 따른 이 아닌 주파수에 따른 으로 데이터를 다른관점으로 쳐다보는 방법이다. 프랑스의 수학자 푸리에라는 양반은 '모든 주기함수는 삼각함수의 합으로 나타낼수있다'라고 주장했다. 이 말은, 굉장히 복잡해보이는, 식을 도출하기 빡쎄보이는 '주기'함수도 우리가 흔히아는 사인, 코사인의 합으로 간단히 나타낼수 있다는것이다. '주기성을 갖는'신호에 대해..

728x90